양승화 6

[독서메모] 그로스 해킹 | 양승화 지음 | 6장 그로스 조직과 업무 프로세스

※ 본 게시글은 위키북스의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6장 그로스 조직과 업무 프로세스 p208 그로스 조직 만들기 그로스 조직의 목표 핵심 지표 개선 회사에 성장 DNA 전파 그로스 조직이 일하는 방식 그로스 해킹을 하기 위해서는 천재 한명과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필요한 게 아니라 각 분야에서 자기 몫을 할 수 있는 프로페셔널 구성원들이 필요하다. 데이터 분석과 아이디에이션은 스프린트의 전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함.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ICE 프레임워크 Impact : 이 실험이 성공하면 얼마나 큰 효과가 있을까? Confidence : 이 실험이 성공할 거라고 얼마나 확신하는가? Ease : 이 실험을 하기 위한 리소스..

책을읽읍시다 2023.07.01

[독서메모] 그로스 해킹 | 양승화 지음 | 5장 그로스 해킹 시작부터, 성장 실험까지

※ 본 게시글은 위키북스의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5장 그로스 해킹 시작부터, 성장 실험까지 p183 분석 환경 구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클라우드 분석 환경 아마존 EMR 구글 GCP 마이크로소프트 Azure ETL 자동화 ETL : 산재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편한 형태로 변환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일련의 과정 StitchData Fivetran Supermetrics BI 서비스 태블로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 리대시 수퍼셋 p183 데이터 파이프라인 : 데이터를 쌓고,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고, 추출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드는 일 서비스 로그 : 트랜잭션(가입, 예약, 결제 등)의 결과를 기..

책을읽읍시다 2023.06.30

[독서메모] 그로스 해킹 | 양승화 지음 | 4장 지표

※ 본 게시글은 위키북스의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4장 지표 p138 지표 활용하기 지표의 종류 스톡(stock): 저량 지표. 특정 시점의 스냅숏에 해당하는 지표 (ex. 누적 가입자 수, 레벨 1인 사용자 수 등) 플로(flow): 유량지표. 일정 시간 동안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지표 (ex. 1월 1일 가입자 수, 일 평균 매출 등) 핵심 지표를 선정하거나 그로스 실험의 성과를 측정할 때는 목표로 하는 지표가 스톡인지 플로인지를 정확히 구분해서 활용해야 함. 지표를 기반으로 성장 실험을 할 때는 해당 지표를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할 것인가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모호한 지표는 모호한 액션을 이끌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허무지표 :..

책을읽읍시다 2023.06.30

[독서메모] 그로스 해킹 | 양승화 지음 | 3장 AARRR

※ 본 게시글은 위키북스의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3장 AARRR p36 지표를 바라보는 관점 과업 기반(Task-based) 각 조직별로 담당하는 업무를 우선 정의한 후 해당 업무를 통해 발생하는 수치들을 지표화해서 관리하는 것 전체 서비스 관점에서 중요한 지표를 판단하기 어려움 팀별 업무가 변경될 때마다 모니터링하는 지표가 달라짐 프레임워크 기반(Framework-based) 서비스 이용흐름에 따른 핵심 퍼널과 지표를 정의하고, 해당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과업을 수행하는 것 AARRR이 바로 그 프레임워크! p42 AARRR 프레임워크 Acquisition(고객 유치) : 사용자들을 어떻게 데려올 것인가? Activation(활성화) ..

책을읽읍시다 2023.06.28

[독서메모] 그로스 해킹 | 양승화 지음 | 2장 전제조건: Product-Market Fit

※ 본 게시글은 위키북스의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2장 전제조건: Product-Market Fit p17 논리적인 기획자가 나쁜 건 절대 아니지만 논리에 함몰되는 기획자는 분명 서비스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제품을 만들 때 고객이 아닌 상급자를 위해 기획서를 쓴다면 십중팔구 소비자에게 외면받는다. 서비스 개선 != 기능 추가 제품은 가설의 조합으로 이뤄져야 하며, 그러한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으로 이뤄져야 한다. p18 아무도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열심히 만드는 함정에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제품-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 PMF) : 좋은 시장에, 그 시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갖고 ..

책을읽읍시다 2023.06.27

[독서메모] 그로스 해킹 | 양승화 지음 | 1장 그로스 해킹이란?

※ 본 게시글은 위키북스의 '그로스 해킹(양승화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1장 그로스 해킹이란? p4 어떻게 하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 그로스 해킹은 이 질문의 답을 찾는 과정이다. p8 우리가 그로스 해킹을 공부하려는 이유는 데이터에서 찾아낸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서다. p9 그로스 해킹을 위해 필요한 것 크로스펑서녈 팀(Cross-Functional Team) : 여러 직군 간 협업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 제품 개발 > 지표 측정 > 학습 및 개선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이 포함된 제품..

책을읽읍시다 202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