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애널리스트 2

[독서메모] 비즈니스 파트너, HR 애널리틱스 | 이재진 지음 | 7부 한국의 HR Analytics는 어디쯤 와 있는가

※ 본 게시글은 (주)온크미디어의 '비즈니스 파트너, HR 애널리틱스(이재진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7부 한국의 HR Analytics는 어디쯤 와 있는가 저자의 연구 결과 (18,19년 국내 HR 현업자 약 180명을 대상으로 국내 HR Analytics에 대한 조사) 조직 규모 및 산업과 상관없이 데이터 부족이 가장 큰 이슈 HR 경력이 많을수록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의사결정보다 직관/경험에 의한 접근을 더 중요시 보수적인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다 해서 HR Analytics의 활용에 회의적인 것은 아냐 회의적인 시각보다 분석 관련 자원/스킬의 부족이 더 큰 문제 국내에서 HR Analytics의 활용이 어려운 이유 데이터 부족 (한국의 집단적 문화, 신뢰도가..

HRA 2023.06.22

[독서메모] 비즈니스 파트너, HR 애널리틱스 | 이재진 지음 | 6부 HR 애널리스트 역량 키우기

※ 본 게시글은 (주)온크미디어의 '비즈니스 파트너, HR 애널리틱스(이재진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요약 정리한 메모입니다. 6부 HR 애널리스트 역량 키우기 *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항상 '왜?'라고 의문을 제기하기. 그것에 대한 답에서도 또다시 '왜?'라고 자꾸 묻기. p219 HR Analyst JD 뜯어보기 기본요건 통계학, 심리학, 조직행동, HR 등과 관련된 학사 학위 데이터분석, 인사이트 도출, 리포팅/프레젠테이션 관련 경험 HR 관련(채용, 보상 등) 분야에 대한 업무 경험 분석과 관련된 기본 기술 지식(SQL, AWS 등) 리포팅/표현하기 관련 기술 활용능력(Power BI, Tableau 등)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활용능력 추가로 선호되는 요건 계량/양적 분석과 ..

HRA 2023.06.22